본문 바로가기
투자/매크로 뷰

GDP 로 바라보는 경제 싸이클

by 세상의통찰 2023. 2. 8.
반응형

GDP 란 무엇인가

한국 GDP 가 전분기 대비 감소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GDP 는 실질 GDP 를 의미하기에, 물가는 이미 반영 되어 있다. 무엇이 우리 나라의 GDP 를 상승시키는 가 - GDP 구성 = 민간 소비 + 정부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GDP 가 계속 늘어나는 국가의 경제는 계속 성장하고 주식, 부동산 역시 성장하는 흐름을 보인다. (큰 시계열에서)


GDP 둔화가 이야기 하는 것

성장이 없는 곳은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 GDP 둔화는 매우 안좋은 소식이다. 일본과 똑같은 꼴!

 

한국은 부채가 높은 상황에서 금리가 높아지기에 소비가 증가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건설 경기 역시 부진. 이사를 마음대로 안가니 내구제 등 소비 하락이 예상된다. 기업 들 역시 설비 투자를 줄이고 있는 추세 - 이 역시 전체적으로 매우 안좋은 영향

 

글로벌 경기 둔화 싸이클이라 수출이 급격히 늘어나긴 어렵다. 수입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늘어난다. 손실 금액 점점 커지게 된다. 수출 제조업 업황이 둔화 된다. 향후 개선될 가능성보다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내수 - 수출 모두 좋지 않다!

 

 


자산 가격의 흐름

소비 증가 - 투자 증가 - 대출 증가 - 자산 가격 상승 - 금리 상승

대출 감소 - 투자 감소 - 소비 감소 - 자산 가격 하락 - 경기 침체 - 금리 하락

 

자산 가격 하락 과정 - 디폴트 발생 (빌린 돈 못 갚겠다.)

사회적 디폴트 - 대기업, 은행 디폴트 발생 시 - 신용 시작 발작으로 이어짐

 

선 반영, 선 반영 외치며 올라가지만 경기 하락으로 추가 하락에 대한 리스크는 항상 있다.

금리 하락이 늦어진다면 이 위기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