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매크로 뷰

기준 금리가 빠르게 인하될 가능성은?

by 세상의통찰 2023. 2. 10.
반응형

물가에 대한 주요 지표 하면 떠오르는 건 소비자 물가 지수 CPI 이다. 하지만 물가 지수에는 CPI 이 외에도 생산자 물가 지수도 있는데, 오늘은 생산자 물가 지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 예정이다.

 

생산자 물가 지수는 공장도 가격을 의미한다. 대량 구매하기에 원자재가 낮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음. 원재료 값이 치솟으면 공장도 가격이 치솟기 마련. 유통 업체들은 곧 바로 소비자 판매가를 인상하지 못한다. =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 (마진율 일부 훼손)

 

생산자 물가 지수 보면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변동성이 크다. 직접적으로 원자재 가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더 빨리 오르기도 더 많이 떨어지기도 한다. 위 아래로 앞치락 뒤치락 하는 건 원래의 특성이다.


현재 생산자 물가 지수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국제 유가 하락 때문. 향후 국제 유가 흐름이 생산자 물가 지수를 흐름을 결정 할 텐데, 국제 유가가 소비 둔화에 앞서 급상승할 가능성은 낮다. 생산자 물가 지수 중 서비스 물가 지수 역시 하락 하고 있는데, 공급난 이슈로 상승했던 서비스 가격이 완만히 하락하고 있는 중이다.

 

 

 

 

* 생산자 물가 지수에는 상품 물가 지수와 서비스 물가 지수로 나뉘어 있음

 

생산자, 소비자 물가 지수 모두 완만히 하락할 것으로 확인 된다. 기준 금리를 높은 수준에서 고정하다 인하 할 만큼 수준이 되려면 국제 유가가 크게 떨어져야 하는데, OPEC 에서 감산으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 침체가 온다면 국제 유가도 떨어지고, 금리도 하락할 예상

심각한 경기 침체가 오지 않는다면, 금리를 낮출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올해는 경기가 둔화되고 있고, 향후에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기에 상당히 위험한 상황으로 투자에 조심해야할 시기이다.

금리를 빠르게 하락할 것이란 전망에 단기 랠리에 베팅하는 것은 괜찮다. 하지만 단기 랠리 상승이 언제 올지는 모를 일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