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매크로 뷰

PCE 개인소비지출을 봐야 하는 이유

by 세상의통찰 2023. 2. 6.
반응형

경기는 소비에서 비롯된다.

경기가 회복되고 성장하고 둔화하고 침체하는 것은 주식 시장과 함께 한다. 이러한 경제의 순환은 필수제에서 나오지 않는다. 경기가 좋다고 치약을 두 배로 쓰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내구재 즉 자동차나 가전 가구 등을 많이 사야 실물 경제가 좋아진다. = 주식을 사야할 때

개인소비지출 PCE 내구재 지출 변화율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시기에는 경기가 좋아지는 시기고 주식을 사야 할 때이다.
지금 테슬라 보면 점점 가격을 낮추고 있는데, 수요가 줄어드니 이익을 방어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테슬라는 지금 보릿고개를 넘어가야 하기에 최대한 이익을 뽑아 내야만 한다. 그리고 지금 테슬라가 최대한 이익을 뽑아낸다면 보릿 고개를 넘기지 못한 기업들의 파이까지 테슬라가 독차지 할 수 있다.


경기가 다시 살아날 때 테슬라가 시장 파이를 충분히 독차지 했다면, 좋은 타이밍이 될 수 있다.

PCE 내구재 지출이 증가하는 시기에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경기 상승기를 의미한다.

소비는 설비 투자와 연결된다.

미 연준 기준 금리가 내려가는 시기에 주식 시장은 랠리를 펼친다. 실물 경기는 안좋아지지만, 곧 다시 경기가 좋아질 거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기준 금리가 내려가는 이유는 하나다. 충분히 시장의 열기가 가라 앉았기 때문. 열기가 식었거나 침체가 오거나 둘 중의 하나.

개인들의 소비 지출이 경제의 사이클을 만든다. 소득이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다. 그 중에서 서비스 소비가 아닌 상품 소비가 경기의 사이클을 만들어 간다. 상품 소비 - 민간 기업의 설비 투자와 연관된다. 지금은 모든 것이 하락 하는 구간이며 경기 둔화 구간, 침체로 가는 구간이라 볼 수 있다.

개인 소비 지출 중에서 상품 지출, 그리고 민간 기업 설비 투자가
경기의 흐름을 만들어 간다.

2022-2023 경기가 둔화 되어 가는 국면이다. 그리고 이 국면은 이미 충분히 주가에 반영되어 있다.

지금은 둔화에서 다시 상승으로 가지 않을까라며 기대를 가지는 구간이다. (금리 인상 중단 혹은 금리 인하 전망에 근거) 그렇기에 주가는 단기간 랠리를 형성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기간의 랠리의 투자는 경제가 상승하는 국면에 투자하여 안전하게 자산을 운용하는 원칙과는 다른 이야기이다.

그렇다고 지금 투자를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손실 라인을 짧게 잡고 상승에 대한 기대 랠리를 타는 것은 나쁘지 않은 전략이다. 하지만 희망에 차서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은 현명하지 않은 전략임이 확실하다. (시장에서 확실한 것은 매우 가치 있는 것)

금리 인하 기대감의 단기 랠리에 적극 투자 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은 전략이다. 손실 라인을 짧게 잡고 경제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