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매크로 뷰

Conference Board 경기 선행 지수를 봐야 하는 이유

by 세상의통찰 2023. 2. 7.
반응형

주식의 원칙

- 주식 시장의 정확한 고점과 저점은 맞추지 못한다. 거시 경제를 안다고 해도 정확한 시점은 당연히 모르겠지. 그래서 예측을 하는데 시간을 많이 쓰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는 소리인가보다.

- 하지만 정확한 고점과 저점은 맞추지 못하지만, 싸이클은 알 수 있다. 싸이클을 원칙으로 삼으면 수익율을 낮출 수 있지만, 큰 손실을 모면할 수 있다. * 주식 시장의 큰 손실은 '경제적 사망'을 의미한다.

- 매크로를 보는 이유는 경제적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토대로 대략적인 매매 타이밍과 비중 조절을 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다.

타이밍 원칙을 지킨다면 큰 소실을 모면할 수 있다.


CB 경기 선행 지수의 중요성

Conference Board (CB) 경기 선행 지수가 -5이하로 내려 가는 구간은 확실히 좋지 않은 구간이다. (홈페이지에도 나와 있음)

  1. 꽤나 괜찮은 나침반 역할을 해준다.
  2. -5 이하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의미함


세부적으로 신용지표의 선행지표, S&P500, 장단기 Spread, ISM 제조업 신규 주문 지수, 평균 노동 시간, 자본재 신규 주문,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권수 etc... 주요한 지표들의 종합, 한 가지만 모니터링 하라면 이것!

  • 0 이하를 기준으로 잡을 수도 있다.
  • CB 경기 선행 지수가 0 이상으로 올라간다면 비중 확대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
  • 현재는 -5 이하이다. 2023 기준

주식 시장이 단기적으로 랠리를 펼칠 가능성이 있다. 최근에 랠리 가능성이 확실해 졌다. 금리 인하 기조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최대한 수익율을 높이고 싶다면 적절히 단타를 잘 하는 것이 좋다. 손실라인은 짧게 잡고 가는 것이 현명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