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36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건수와 경기 침체 시기에 대한 관점 신규 실업 청구 건수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고용이 너무 좋아 주식 시장이 반등할 수 밖에 없다? 고용은 후행 지표이기에 곧 나빠질 수 밖에 없다? 30년 간 차트를 살펴보자. 신규 실업 수당 크게 증가 - 주식 시장 하락 (반대로 움직이는 모습 항상 보임) 경기 침체 = 경기 둔화 과정에서 특정 사건이 트리거가 되어 나타남 매주 발표 되는 자료 - 미국 고용 시장 빠르게 확인 할 수 있는 장점 - 기업이 사람을 많이 해고 하기에... 경기 침체는 확실 최근 미국에서 빅테크 감원 뉴스가 계속 들려오고 있는데, 현재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건수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음 고용은 소비에 선행하는 지표 - 고용이 좋으면 월급을 두둑히 받기에... 빅테크 해고는 큰 의미가 없고, 미국은 대부분의 고용이 서비스업이기.. 2023. 2. 11.
기준 금리가 빠르게 인하될 가능성은? 물가에 대한 주요 지표 하면 떠오르는 건 소비자 물가 지수 CPI 이다. 하지만 물가 지수에는 CPI 이 외에도 생산자 물가 지수도 있는데, 오늘은 생산자 물가 지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 예정이다. 생산자 물가 지수는 공장도 가격을 의미한다. 대량 구매하기에 원자재가 낮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음. 원재료 값이 치솟으면 공장도 가격이 치솟기 마련. 유통 업체들은 곧 바로 소비자 판매가를 인상하지 못한다. =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 (마진율 일부 훼손) 생산자 물가 지수 보면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변동성이 크다. 직접적으로 원자재 가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더 빨리 오르기도 더 많이 떨어지기도 한다. 위 아래로 앞치락 뒤치락 하는 건 원래의 특성이다. 현재 생산자 물가 지수가 빠르게 떨.. 2023. 2. 10.
임의 소비재 하락과 소비 시장 하락 전망 미국 자동차 시장 향후 1년은 보릿고개이다. (경제 성장이 더뎌져 자동차 시장에 압력) 재고 - 할인 판매 - 중고차 판매 하락 - 가격 하락 기업은 프리미엄 제품 수요 공략 - 경기 영향을 덜 탐 하지만, 전체적으로 다 감소 중 - 특히나 임의 소비재 감소 심하다. 역사적인 경기 침체 이전에 금리가 높았다. = 인플레이션이 높았다. 기준 금리 높고 인플레이션 심하면 = 임의 소비재 (자동차, 가전, 가구, 사치재) 등이 어렵다. 임의 소비재에 관해 자동차를 예로 살펴보자면 2022 자동차 판매량은 하락 - 판매액은 상승 자동차 판매량 하락 원인은 반도체 및 부품 공급 업체의 공급망 이슈 판매액 상승 원인은 공급 저하 및 수요 상승 -> 자동차 가격 상승의 요인 IF 2023에 공급망 원활해지고 금리 상.. 2023. 2. 9.
GDP 로 바라보는 경제 싸이클 GDP 란 무엇인가 한국 GDP 가 전분기 대비 감소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GDP 는 실질 GDP 를 의미하기에, 물가는 이미 반영 되어 있다. 무엇이 우리 나라의 GDP 를 상승시키는 가 - GDP 구성 = 민간 소비 + 정부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GDP 가 계속 늘어나는 국가의 경제는 계속 성장하고 주식, 부동산 역시 성장하는 흐름을 보인다. (큰 시계열에서) GDP 둔화가 이야기 하는 것 성장이 없는 곳은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 GDP 둔화는 매우 안좋은 소식이다. 일본과 똑같은 꼴! 한국은 부채가 높은 상황에서 금리가 높아지기에 소비가 증가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건설 경기 역시 부진. 이사를 마음대로 안가니 내구제 등 소비 하락이 예상된다. 기업 들 역시 설비 투자를 줄이고 .. 2023. 2.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