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36 소비자 물가 지수 하락 전망과 주식 시장 랠리에 대한 생각-2 금리 인하 - 단기 랠리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는 역사적으로 단기 랠리로 이어져 왔다. - 금리 인하 기조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식 시장의 단기 랠리가 발생하고 있다. 단기 랠리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연준이 실제 시장의 반응 처럼 움직인다면 (금리 상승율 점차 인하, 금리 인상 중단 선언, 금리 중단 유지 혹은 하락 전망 유리) 생각보다 환호성은 길 가능성이 있다. - 시장 참여자들은 이미 이 랠리가 단기 랠리가 될 거란 사실을 알고 있다. 테마 주에 유동성이 붙는 이유이기도 하다. 기술적 투자가 필요한 시가라 말하긴 어렵지만, 사람들의 관심과 테마가 몰리는 산업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 가지만 지키라면 급등한 주식은 건들이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 단기 및 테마주 투자는 주.. 2023. 2. 8. 소비자 물가 지수 하락 전망과 주식 시장 랠리에 대한 생각-1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많이 낮아지고 있는 수준이다. 2022년 7월 9.1% 였으니, 추세적으로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완전히 잡히게 될 미래를 바라보고 주식 시장이 오를 거라 생각된다. 전망 : 주식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는 기준 금리 인하이다. 연준 따위 믿지 않겠다...? 1960-1980 미연준 의원들 정치적인 힘에 의해 좌지우지 되었던 시절 - 조금만 물가 떨어지면 금리 떨어뜨림 - 기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초 인플레이션 시대 도래 - 폴 볼커에 의한 강한 금리 인상으로 기대 인플레이션 박살내고 인플레이션 하락 시킴 (1980) 현재 FOMC 독립성 크게 보장 받고 있음 - 정치적 압박, 특정 정당 포퓰리즘은 없다. 미연준은 기대 인플레이션이 꺾을 때까지 높은 기준 금리 유지할 예상 .. 2023. 2. 8. Conference Board 경기 선행 지수를 봐야 하는 이유 주식의 원칙 - 주식 시장의 정확한 고점과 저점은 맞추지 못한다. 거시 경제를 안다고 해도 정확한 시점은 당연히 모르겠지. 그래서 예측을 하는데 시간을 많이 쓰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는 소리인가보다. - 하지만 정확한 고점과 저점은 맞추지 못하지만, 싸이클은 알 수 있다. 싸이클을 원칙으로 삼으면 수익율을 낮출 수 있지만, 큰 손실을 모면할 수 있다. * 주식 시장의 큰 손실은 '경제적 사망'을 의미한다. - 매크로를 보는 이유는 경제적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토대로 대략적인 매매 타이밍과 비중 조절을 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다. 타이밍 원칙을 지킨다면 큰 소실을 모면할 수 있다. CB 경기 선행 지수의 중요성 Conference Board (CB) 경기 선행 지수가 -5이하로 내려 가는 구간은.. 2023. 2. 7. PCE 개인소비지출을 봐야 하는 이유 경기는 소비에서 비롯된다. 경기가 회복되고 성장하고 둔화하고 침체하는 것은 주식 시장과 함께 한다. 이러한 경제의 순환은 필수제에서 나오지 않는다. 경기가 좋다고 치약을 두 배로 쓰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내구재 즉 자동차나 가전 가구 등을 많이 사야 실물 경제가 좋아진다. = 주식을 사야할 때 개인소비지출 PCE 내구재 지출 변화율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시기에는 경기가 좋아지는 시기고 주식을 사야 할 때이다. 지금 테슬라 보면 점점 가격을 낮추고 있는데, 수요가 줄어드니 이익을 방어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테슬라는 지금 보릿고개를 넘어가야 하기에 최대한 이익을 뽑아 내야만 한다. 그리고 지금 테슬라가 최대한 이익을 뽑아낸다면 보릿 고개를 넘기지 못한 기업들의 파이까지 테슬라가 독차지 할 수 있다. .. 2023. 2. 6.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