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조업 자본재 지출 연간 변화율 - 0 이하 하락 시 침체, 5% 이하로 떨어지면 위험 신호, 2022 기준 금리 급격히 인상 - 지표 보다 주식 시장이 빠르게 하락 (현재 5% 대로 하락 진행 중) - 이미 선반영으로 2023에는 대세 상승? (금리, 기대 인플레이션 하강) - 주식 시장 일시 반등 (선반영! 선반영!) - FOMO 로 인한 개인의 주식 매수 - 본격적 경기 침체 및 주식 하강 리스크
확실히 상승기가 되어야 추세 반등이 되어야 매수를 해도 늦지 않다.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팔는게 현명한게 맞다. 내가 팔면 더 오르더라도 괜찮아. FOMO 가 더 위험하단 걸 이해해야한다. 과거 역사적으로 봤을 때 경기 침체가 터질 가능성이 높다.
반응형
'투자 > 매크로 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 대출 위기 - 증권사와 저축 은행의 위기 (0) | 2023.02.17 |
---|---|
주식 시장이 폭락하면 매수를 고려해 봐야 하는 종목 (0) | 2023.02.13 |
ISM 서비스업 PMI 구매 관리자 지수 수축 국면과 기대 인플레이션 (0) | 2023.02.11 |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건수와 경기 침체 시기에 대한 관점 (0) | 2023.02.11 |
기준 금리가 빠르게 인하될 가능성은? (0) | 2023.02.10 |
댓글